본문 바로가기
꿀정보

2023 최저임금 월급,연봉, 실수령액 바로 확인

by 자민 jamin 2023. 2. 21.
반응형

 

 

 

 

근로자에게 가장 중요한 노동 목적은 '급여'입니다. 때문에 매년 결정되는 최저임금에 신경이 모일 수밖에 없습니다. 오늘은 2023 최저임금을 토대로 월급, 연봉, 실수령액까지 계산해본 값을 공유합니다. 

 

 

 

 

글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됩니다.

 

* 목차 

1. 최저임금이란
2. 2023년 최저임금 - 월급 / 실수령액 / 연봉 
3. 최저임금 적용범위 

 

 

 

 

 

 

1. 최저임금이란 

 

> 국가가 임금의 최저 수준을 정하여 사용자에게 이 수준 이상의 임금을 지급하도록 강제함으로써 저임금 근로자를 보호하는 제도

 

> 1인 이상 근로자를 사용하는 모든 사업과 사업장을 대상으로 하며 정규직/비정규직, 파트타임, 아르바이트, 청소년 근로자, 외국인 근로자 등에게 모두 적용 

 

> 최저임금 위반 시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의 벌급, 병과 등의 처벌 

 

 

 

 

 

 

 

2. 2023년 최저임금 

 

* 최저임금위원회에서 결정 

 

2023년 최저시급은 6,260원으로 2022년 대비 약 5% 상승, 460 원 인상된 금액 

 

 

 

 

 

* 주급, 월급

 

하루 8시간 근무 기준으로 계산한 값이며,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면 제공되는 주휴수당까지 계산한 결과 값입니다. 

 

- 시급 : 9,620원

- 주급 : 461,760원 (일 8시간 근무 + 주휴수당)

- 월급 : 2,010,580원 (월 209시간 근무 + 주휴수당)

 

 

@주휴수당이란? 

 

> 주 15시간 이상 근무하는 근로자가 1주일 동안 개근한 경우 주 1회 유급휴일은 부여하여야 하는데 이때 지급하는 수당이 주휴수당 

 

> 주 5일, 주 40시간 미만 근로자라도 주 15시간 이상 근로하면 시간에 비례하여 주휴수당을 지급하여야 합니다. 즉 1주일에 평균 15시간 이상 근무한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며, 1일 임금액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월급 실수령액 (예시)

 

최저월급 2,010,580원 기준으로 실수령액을 계산한 값입니다. 2023년 최저임금 급 실수령액은 1,813,240원 

 

10만 원으로 책정된, 대표적인 비과세항목인 식대는 월 10만 원까지 비과세입니다. 점심식대가 따로 나온다면 실수령액이 조금 줄어들게됩니다.

 

 

 

* 연봉 

 

최저월급 2,010,580원에 단순히 12개월을 곱한 2023년 최저임금 연봉은 24,126,960원입니다. 

 

실제 상여금이나 기타 비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점 참고해 주세요.

 

 

 

 

 

 

 

3. 최저임금 적용범위 

 

> 최저임금에 포함되는 임금은 근로기준법상 임금으로서 매월 1회 이상 정기적으로 지급하는 임금을 말합니다. 통화 이외의 현물 등으로 지급하는 임금과 연장근로 또는 휴일근로에 대한 임금 및 연장, 야간 또는 휴일근로에 대한 가산임금 등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 정규직, 일용직, 아르바이트 모두 직종과 산업군 상관없이 최저임금제도가 적용됩니다.

 

> 최저임금법 제 5조에 따르면 1년 이상의 근로계약을 체결한 경우엥는 수습 시작일로부터 경우 3개월 간 최저임금의 90%만 지급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 단순 노무 업무 직종은 숙련 향상 필요성이 낮아 수습기간 운영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ex. 운송, 제조, 청소, 경비, 가사, 음식/판매, 주차관리원 등

 

 

 

오늘은 이렇게 2023년 최저임금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경기침체라 사업자, 근로자 모두 힘든 상황이지만 앞으로 더 나아질 상황을 기대하며 오늘 글 마치겠습니다 :)

 

 

 

 

반응형

댓글